전체 글(14)
-
Unity3D ECS(DOTS) 프로젝트 설정
예에에에전에 Unity에서 OOP(객체 지향) 패턴 다음으로 ECS(객체, 컴포넌트, 시스템) 패턴을 발표했었습니다. ECS는 DOTS(데이터 지향 테크기술 스택) 기술 중 대표적인 패턴입니다! 기존 oop와는 다르게 ecs에서는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을 깨버리고 Entity, Component, System으로 분리하여 각각 배열로 메모리를 관리하여 캐시적중율을 높히는데 좋다고 하는 거 같습니다. 굳이 비교하자면 MVC패턴과 비슷한 느낌.... 그러면 Unity3D에서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 1. 프로젝트 생성 Unity3D 2021.3.11 LTS버전으로 포스팅합니다! 3D(URP) 프로젝트로 생성해 줍니다. 2. Preview Package 설정 Project Settings -> Pack..
2023.03.06 -
Linux에서 CPU L1 정보 확인하기
리눅스를 만지면서 CPU 정보는 어떻게 확인하지..부터 시작된 궁금중을 풀어봅니다. 우선 L 캐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아래 경로로 들어가면 됩니다. cd /sys/devices/system/cpu/cpu0/cache/ list를 보면 index 0 ~ 4까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차례대로 L1 캐시 ~ L4이다. L1에 대해 알고 싶으니 index0으로 들어가서 보면 이렇게 정보가 적힌 파일들이 있습니다. 각 파일들 설명을 하자면 level: CPU 캐시 레벨을 나타내는 파일입니다. 이 파일의 내용은 캐시 레벨을 나타내는 숫자로 표시됩니다. type: CPU 캐시 유형을 나타내는 파일입니다. 이 파일의 내용은 캐시 유형을 나타내는 문자열로 표시됩니다. 예를 들어, "Data" 또는 "Instru..
2023.02.22 -
CentOS 7 에서 MySQL 5.7 을 8.x로 업데이트 하기
이전 글 https://kanade.tistory.com/13 CentOS 7 에서 MySQL 5.6 을 5.7로 업데이트 하기 mysql을 5.6에서 8 버전으로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... 찾아보니 5.6에서 8 버전으로 바로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고 5.7을 거쳐 8.x버전으로 올라가야 한다. 이 글은 5.6에서 5.7로 올리는 글입니다! 1. 백업 kanade.tistory.com 이번 포스팅에선 MySQL 5.7 버전에서 8.x 버전으로 올립니다. 1. MySQL 중지 systemctl stop mysql 2. yum repo 리스트 확인 yum repolist all | grep mysql 3. yum mysql 레포 수정 yum-config-manager --disable mysql57-commu..
2023.01.17 -
[Laravel] 프로젝트 폴더 초기 구성
사정이 있어 라라벨 6.x 버전 사용중인데 라이브 구성 중 라라벨 프로젝트 폴더 초기 구성이 있어 기록합니다.
2023.01.17 -
CentOS 7 에서 MySQL 5.6 을 5.7로 업데이트 하기
5.7에서 8.x로 올리는 포스팅 https://kanade.tistory.com/15 CentOS 7 에서 MySQL 5.7 을 8.x로 업데이트 하기 이전 글 https://kanade.tistory.com/13 CentOS 7 에서 MySQL 5.6 을 5.7로 업데이트 하기 mysql을 5.6에서 8 버전으로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... 찾아보니 5.6에서 8 버전으로 바로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고 5.7을 거쳐 kanade.tistory.com mysql을 5.6에서 8 버전으로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... 찾아보니 5.6에서 8 버전으로 바로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고 5.7을 거쳐 8.x버전으로 올라가야 한다. 이 글은 5.6에서 5.7로 올리는 글입니다! 1. 백업하기 DB를 통으로 백업하는 걸 추천하..
2023.01.17 -
Docker에서 centOS7 Failed to get D-Bus connection 에러 해결하기
Docker에서 centOS7을 사용할 일이 생겨서 설정을 하고 있는데 nginx를 설치하고 서비스 데몬을 실행하려는데 Failed to get D-Bus connection: Operation not permitted 와 Failed to get D-Bus connection: No such of file or directory 에러가 뜨는 것... 국내외 블로거 글과 스택, 깃의 힘을 빌려봐 해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. 원래는 아래 docker run 인자에 run -d --privileged -v /sys/fs/cgroup:/sys/fs/cgroup:ro /usr/sbin/init privileged 옵션과 cgroup을 마운트 시킨 후 init을 시키는 방법으로 systemctl을 실행할 수 있다...
2023.01.13